2013년 처음 하노이에 출장을 와서 여러 베트남 IT 회사와 Telco, 방송사를 만났을 때 대부분의 베트남 지인들이 나에게 말했다. “소프트웨어는 베트남에서 공짜이니 투자할 생각으로 생각을 해라. 가입자가 늘어나고 라이선스 판매가 늘어나 유료화 시점에 수입을 얻을 수 있으니 인내를 가지고 함께 가자” 참 애매모호한 말이다. 베트남에선 RS(Revenue Share)모델을 매우 선호한다. 수입이 나면 나누자는 제안이 먼저였다.
베트남에서 소프트웨어 산업은 남이 만들어 놓은 제품을 잠시 빌려 쓰고 Free license가 만료되면 다시 새로 깔아서 쓰고 계정을 다시 만들어 사용하기 때문에 유료화는 갈 길이 멀다. 이러한 당시의 사회적인 인식 속에 베트남 소프트웨어 산업이 성장할 수 있을까 하는 의구심이 들었다. 그리고 2016년 이후 베트남의 IT 산업은 엄청난 변화와 발전이 있었다. 삼성의 모바일 폰의 현지 생산이 본격화되면서 Android 개발자들이 예전 봉제공장에서 옷을 생산하듯 소프트웨어를 각 제품별, 버전별로 생산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베트남 스타트업의 급격한 성장과 모바일이 PC를 대처하는 시대가 오면서 베트남의 소프트웨어 산업은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전문은 링크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