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C 국가들, 유가 상승에 따른 재정 안정화 기대

☐ GCC 산유국, 유가 상승으로 재정 상황 개선 전망

◦ 2021년도 3월 국제유가, 2020년 말보다 상승
– 지난 2020년 4월 배럴당 20달러(한화 약 2만 2,678원)대까지 떨어졌던 국제유가는 2020년 말에는 배럴당 52달러(한화 약 5만 8,962원)까지 회복한 뒤 2021년도 3월 현재 배럴당 60달러(한화 약 6만 8,034원)대까지 상승했다.
– 최근의 유가 상승은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확대되고 각국의 봉쇄 조치가 완화되어 2021년도 경제가 회복될 것이라는 기대에 따른 결과로, 미국 투자은행인 골드만삭스(Goldman Sachs)는 2021년도 평균 유가가 배럴당 73달러(한화 약 8만 2,774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 유가 상승에 따라 GCC 산유국의 재정 상황 또한 개선될 것으로 전망
– 파루크 수사(Farouk Soussa) 골드만삭스 소속 경제학자는 브렌트유 가격이 배럴당 45달러(한화 약 5만 1,021원)일 경우 GCC 국가가 향후 3년간 차입해야 하는 금액은 2,700억 달러(한화 약 306조 1,260억 원)에 달하지만, 배럴당 65달러(한화 약 7만 3,697원)까지 상승하면 차입액은 100억 달러(한화 약 11조 3,380억 원)로 감소한다고 분석했다.
– 2020년도 유가 하락으로 인해 GCC 산유국들은 국제 유가를 배럴당 평균 50달러(한화 약 5만 6,700원)로 전망하고 2021년도 예산안을 세웠으나, 예상치를 넘어 상승한 유가는 GCC 산유국의 재정 상황 개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 실제로 2021년도 사우디아라비아의 재정 적자가 국내총생산(GDP)의 5.6%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던 아부다비상업은행(ADCB, Abu Dhabi Commercial Bank)은 유가 인상을 고려해 재정 적자 예상치를 GDP의 3.9%로 하향했으며, UAE 중앙은행은 2020년 11월 이후 2021년 1월까지 3개월 만에 외화보유액이 34억 달러(한화 약 3조 8,549억 원) 늘어났다고 밝혔다.

<전문은 링크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