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F 중국전문가포럼] 중국, 어떻게 외자기업을 밀어냈나

중국은 개혁개방 이후 외자 유치를 통해 고도의 경제성장을 이끌어왔다. 외자기업은 자본과 경영을 중국의 저렴한 노동력, 토지, 원자재 등과 결합하여 중국의 대외 수출을 주도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중국은 내수시장이 확대된 반면, 수출에서는 구미 선진국과의 무역마찰에 직면하였다. 외자기업도 수출 중심에서 벗어나 거대해진 중국 내수시장을 공략하는 전략으로 전환하였다. 외자기업은 우수한 기술력과 풍부한 자본력, 브랜드 파워, 고품질의 제품을 기반으로 중국 내수시장을 장악해 왔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중국 로컬 기업의 경쟁력이 급상승하기 시작하여 외자기업을 중국 시장에서 밀어내기 시작하였다. 중국 로컬 기업은 노동집약적 제조업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통신장비, 이차전지, 자동차 등 일부 첨단 제조업에서도 국내시장을 장악하였다. 특히 가격 대비 품질이 우수한 한국계 기업의 제품들이 중국 로컬 기업의 일차 추월 대상이 되었다. 삼성 스마트폰과 현대, 기아차는 한 때 중국 시장에서 승승장구하였으나 지금은 존재감이 미미하다. 가성비를 넘어 중국 로컬 기업은 점차 프리미엄 제품을 선보이는 외자기업을 중국 시장에서 밀어내고 있다. 중국 로컬 자동차의 점유율은 빠르게 상승하면서 폭스바겐이나 토요타의 판매량을 크게 떨어뜨리고 있다. 그렇다면 중국은 어떻게 외자기업에 내주었던 국내시장을 빠르게 되찾아 올 수 있었는가. 이하에서 중국 정부와 중국 기업으로 구분하여 그 원인을 도출해 보고 한국 기업이 중국 시장을 다시 회복하기 위한 전략을 도출해 보자.

<전문은 링크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