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F 아세안·인도·남아시아 전문가포럼] Global Connectivity: 싱가포르에서 찾는 한국의 글로벌 경쟁력

싱가포르는 금융과 물류, 관광의 중심지라는 이미지가 크지만, 실제로는 한국과 유사한 경제성장 경로를 걸어왔다. 1965년 말레이시아 연방에서 탈퇴하여 독립한 이후 대외 개방, 수출 중심 공업화 정책을 추진하여 한국과 더불어 아시아의 네 마리 용이라 불리며 괄목할 만한 경제성장을 이루었다. 전기전자, 화학 등 제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하여 글로벌 주요 선진국임에도 싱가포르의 제조업 비중은 2022년 기준 21.6%에 이른다. 

그러나 싱가포르의 인구구조 변화는 향후 싱가포르의 경제성장의 그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싱가포르 이민‧출입국관리청(ICA, Immigration & Checkpoints Authority)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2년 싱가포르의 합계 출산율과 신생아 수는 각각 1.05명, 3만 5,605명으로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하였다. 또한 2022년 싱가포르의 중위연령은 42.1세로 한국(45세)과 크게 다르지 않다. 싱가포르 정부는 코로나 19 팬데믹 시기 저출산에 대응하여 출산과 육아에 대한 지원정책을 크게 강화하였으나 아직 가시적인 성과는 나오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위해 한국과 싱가포르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는 유사한 점이 많다. 싱가포르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인 개방정책을 지속하고 있다. 우수한 인력을 유치하고, 국적에 상관없이 글로벌 혁신을 주도하는 기업이면 투자를 꺼리지 않는다. 도시국가인 싱가포르와 영토국가인 한국을 동일선에 두고 비교하기는 어려우나, 싱가포르가 영토상의 한계를 넘어 ‘연결성’에 기반, 주변 신흥국에 진출하고 부를 끌어들이는 방법론은 눈여겨 볼 만하다.

<전문은 링크 참조>

Close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