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0월 29일, 베트남-세계 경제포럼(WEF, World Economic Forum) 1차 국가전략대화에서 팜민찐(Pham Min Chinh) 총리는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베트남이 지나온 35년은 혁신과 국제통합을 위한 여정이었으며,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과정이었다. 강력하고 번영하는 베트남을 건설하기 위해 2030년까지 현대적 산업을 발전시켜 높은 중소득 수준 개도국으로 도약하고자 하며, 2045년까지 고소득 선진국이 되기 위해 노력하겠다”는 구상이다. 베트남의 이 같은 자신감은 어디서 나온 것인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발발로 남중국해 국면전환이 일어나고 있다. 한국이 인도-태평양 전략을 선언하고 남중국해 안보를 지지하는 미국ㆍ일본의 해양국가 동맹 축에 힘을 실었으며, 러-우 전쟁으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가 러시아와 대립하며 유럽과 태평양이 연계되고,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이에, 중국과 러시아가 연대하기 시작했다. 사회주의 국가인 베트남이 진영외교에 매몰된다면 세계화로 나아가기 어려운 상황이 노정되고 있으나, 베트남이 경제발전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해양안보 우군은 이전보다 많아진 것도 사실이다.
극(極)중심 진영화 시대, 베트남은 지정학적 기회를 활용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어떠한 노력을 하고 있으며, 탈(脫)세계화 시대, ‘세계화’로 역행하는 베트남의 국가전략 방향은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 아래에서 5가지 분석 시각으로 특징을 정리하였다.
<전문은 링크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