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정세 개관
[한반도 주변 정세와 동북아 안보환경]
[북한정세 및 남북관계]
[신안보 정세]
Ⅱ. 대외 정세
[국제정치경제] 러시아-우크라이나전쟁과 세계경제의 불안정성 심화
[미국] 중간선거 위기 신호 속 러시아-우크라이나전쟁 출구전략 모색
[중국] 안정의 토대를 다지며 20차 당대회 성공적 개최에 주력
[일본] 참의원 선거 승리를 위한 보수 결집 노력과 방위력 증강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을 통한 국제질서 변화 시도
[유럽] 안보위기 속 경합하는 해법: 자강론과 동맹론
Ⅲ. 북한 정세와 남북관계
[북한정치] 노동당 회의체 활성화와 당의 역할 증대
[북한경제] 내연하는 위기, 반전의 계기를 찾지 못하는 경제
[북한군사] 핵무력 중심 국방력 강화 정책의 지속
[북한보건] 코로나19 통제 성과 속 재확산 가능성 상존
[남북관계] 경색국면 장기화와 위기관리의 중요성 증대
[북한 대외관계] 미국과의 대립, 중러와의 밀착 지속
Ⅳ. 신안보 정세
[보건] 방역과 일상회복 노력의 병존
[기후] ‘기후정의’ 부각과 러시아-우크라이나전쟁으로 인한 갈등 가능성
[테러 및 국제범죄] ISIS와 알카에다의 세력 재건 시도와 테러의 경제전화
[사이버] 단순 협력을 넘어 동맹 역할을 요구받는 시대의 도래
[신기술] 핵심·신흥기술 이슈 부각에 따른 미중 전략경쟁 심화
<전문은 링크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