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행정부의 첫 동북아 외교는 동맹과 파트너 국가들과의 협력을 통한 미국 외교의 복원시도를 보여준 중요한 사례가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블링컨 국부장관이 여러 차례 밝혔듯이 수 주 내로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정책이 결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북한은 최근 한미·미일 2+2회담과 미중 고위급회담의 주요 내용에 대해 다소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으며, 한편으론 대미 외교 및 군사적 대응을 펼치면서도 북미대화의 가능성은 열어 놓고 회담의 주도권을 잡기 위한 전략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우리정부는 이번 회담 결과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을 통해 북미대결의 지속보다 북미대화의 접점이 조속히 마련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대응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1. 들어가며
2. 북한관련 주요 의제
(1) 미일 외교·국방장관 2+2회담
(2) 한미 외교·국방장관 2+2회담
(3) 미중 고위급회담
3. 북한의 외교·군사적 대응
(1) 북한의 외교적 대응
(2) 북한의 군사적 대응
4. 시사점
<전문은 링크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