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와 아시아(3) 한류, 현재의 K-pop을 만든 CT와 미래를 열어갈 SMCU

한류와 아시아(3)
한류, 현재의 K-pop을 만든 CT와 미래를 열어갈 SMCU

1980년대 미국 유학을 하던 당시, MTV가 개국하는 모습을 보고 전 세계적으로 음악시장의 형태가 바뀌면서 음악산업이 더욱 넓어지고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그래서 유학을 마친 후 한국으로 돌아와,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에서도 인정받는 가수를 발굴하고 프로듀싱 하겠다는 꿈을 품고 1989년에 만든 SM기획을 모체로 하여 1995년 주식회사인 SM엔터테인먼트를 설립하게 되었다. SM엔터테인먼트가 해외 시장 진출을 선언했던 1997년에는 우리나라의 문화 콘텐츠산업의 해외 진출에 대해서 부정적인 의견이 많았다. 대부분 사람들이 “경제대국이 되면 국외로 그 나라의 문화가 전파된다”라고 믿었다. 하지만 좋은 문화 콘텐츠가 인정받고 사랑받아 주변국으로 퍼지고, 전 세계로 퍼지게 된다면 이로 인해 파생되고 발전하는 산업이 경제적인 부가가치를 창출해 경제 대국으로 이끌 수 있다는 역발상으로, 1997년 해외시장 진출을 시작하면서 ‘Culture First, Economy Next’ 라고 선언하게 되었다.

 2000년 2월 H.O.T의 베이징 콘서트 때 중국팬들이 가방에 태극기 배지를 달고, H.O.T가 좋아서 한국을 동경하고 좋아하게 되는 것을 보면서, ‘Culture First, Economy Next’가 실현 가능 하다는 것을 확신하게 되었다. H.O.T가 베이징에서 공연을 진행한 이후 중국의 일간지 사회면에 ‘한류’라는 단어가 거론되기 시작하였다. 이를 계기로 한국의 음악, K-pop은 한류를 대표하는 문화콘텐츠로 자리 잡게 되었다.

<전문은 링크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