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최근(23.1~3월) 중국경제의 동향과 전망

◈ 2023년 1~2월 실물경기는 순조로운 리오프닝으로 경제활동이 정상화 되는 가운데 생산, 투자, 소비 모두 지난해 12월보다 개선되는 등 경기 회복세 지속

◈ 중국경제는 안정 최우선・안정속 성장 정책기조 하에서 소비·투자 등 내수가 경기회복을 견인하는 가운데 5% 대의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

◈ 2023년 1~2월 실물경기는 순조로운 리오프닝으로 경제활동이 정상화되는 가운데 생산, 투자, 소비 모두 지난해 12월보다 개선되는 등 경기회복세 지속

□ 중국경제는 리오프닝 이후 경제활동이 정상화되는 가운데 1~2월 주요실물경제 지표가 지난해 12월보다 개선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일각에서는 수요부족 등으로 경기회복 기반이 여전히 불안정하다는 평가도 존재

□ 중국정부는 대내외 경기하방압력에 대응하고 안정적 경기회복세 지속을 위해 내수촉진, 고용안정, 개혁‧혁신, 리스크관리 등에 주력할 것으로 예상

□ 인민은행은 금번 양회에서 정교한 통화정책의 운용이 강조된 만큼 향후 실물 경제지원 과정에서 금융시장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금리 조정보다는 특별재대출 등 선별적인 유동성 공급수단을 적절히 활용할 것으로 전망

□ 인민은행은 주택구입 실수요자들의 금융비용 완화 등을 위해 부동산담보대출 금리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5년물 LPR을 적절한 시기에 인하할

□ 한편, 인민은행은 최근 금융안정회의(3.15일)에서 밝힌 바와 같이 금융기관의 도덕적 해이를 방지하고 비상시 금융리스크가 확산되지 않도록 재무건전성이 취약한 중소형 금융기관들을 정비하는 등 금융시스템에 대한 감시 활동을 강화해 나갈 것으로 전망

<전문은 링크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