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최근 엔캐리 트레이드 현황 및 전망

▣ 지난해 이후 엔캐리 트레이드는 일본과 여타국의 금리차 확대에도 불구하고 위험선호 약화, 환율 변동성 확대 등으로 2000년대 중반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는 규모로 이루어짐

▣ 향후 연준의 긴축 지속 및 일본은행의 점진적인 정책전환 등에 따른 내외금리차 추가 확대는 캐리 트레이드 활성화 요인이 되겠지만 글로벌 경기침체 및 위험 선호 약화, 시장변동성 확대 가능성 등은 제약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임

<전문은 링크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