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중동 주요국의 수소산업 동향 및 시사점

[목차]

Ⅰ. 중동 지역에서 수소 개발의 중요성 대두

  • 중동 지역은 2009~16년 에너지 집약적 산업화 프로그램의 시행과 개발 붐으로 인한 경제성장, 빠른 인구 증가 등으로 전력 사용량이 크게 증가하였고, 에너지 소비의 지속적 증가에 따라 에너지 공급의 안정성 관련 이슈가 대두됨.
  • 또한, 2014년부터 국제유가의 지속적 하락으로 인한 쌍둥이 적자 상황과 석유 생산의 수익성 하락은 석유 부문에 대한 국내외 투자 감소를 초래하였으며,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원유 수요의 감소와 유가 하락 상황에 다시금 직면하면서 원유 수출 의존도 감소의 필요성과 함께 대체 에너지 자원 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
  • 중동 지역은 풍부한 재생에너지원과 발전단가의 하락으로 친환경적 저탄소 수소의 생산에 높은 잠재력을 보유함에 따라 국가 주도의 수소 개발 프로젝트를 시행함.
  • 중동 지역의 주요 수소 프로젝트는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 오만 3개국에서 추진 중이며, 대표적으로는 사우디아라비아의 NEOM Green Ammonia(네옴시티 그린수소 생산기지), 오만의 Hyport Duqm 그린수소 프로젝트, UAE의 Abu Dhabi Hydrogen Alliance(아부다비 수소동맹)이 있음.

Ⅱ. 중동 주요국의 수소산업 동향 및 개발 잠재력

Ⅲ. 시사점

<전문은 링크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