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우즈베키스탄의 정치·경제 동향
ㅇ 주요 정치·경제 이슈: 2022년에는 헌법 개정 추진과 이로 인한 카라칼팍스탄의 대규모 시위, 키르기즈와의 국경 획정 등의 주요 대내외 정치적 이슈가 있었으며, 경제 이슈로는 EU와의 EPCA 체결, 제1회 타슈켄트 국제투자포럼 개최 등이 있었음.
ㅇ 경제 현황: 우즈베키스탄은 2022년 글로벌 경기둔화 가운데 비교적 높은 경제성장률을 유지했음. 반면 높은 물가상승률이 지속되고 있음.
Ⅱ. 우즈베키스탄의 중단기 발전전략과 주요 내용
ㅇ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2022~2026 새로운 우즈베키스탄 발전전략”을 통해 7개 분야에서 발전을 추진하고 있음.
ㅇ 또한 2023년 대통령 국정과제를 통해 작은 정부, 천연가스 생산 증대, 대중교통 개선, 재산권 보호 등을 강조하였음.
Ⅲ. 우즈베키스탄 주요 산업의 발전전략
ㅇ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디지털, 자동차, 신재생 분야에서 발전전략을 추진하고 있음.
ㅇ 이처럼 우즈베키스탄의 산업별 발전전략에 따라 중국과 인도, UAE·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 기업들이 디지털, 자동차, 신재생 분야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음.
Ⅳ. 한국의 협력 방안
ㅇ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유라시아 지역의 안보 위협으로 중앙아시아 국가들 간의 역내 협력이 활발하며, 교역·투자·물류 등의 경제협력이 강화되고 있는 중국이나 같은 이슬람권인 중동 국가들의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으므로 향후 중앙아시아 및 우즈베키스탄과의 협력에서 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
ㅇ 향후 우즈베키스탄은 WTO 가입, EU와의 협력 확대 등 대외개방 경제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으로 전망되며, 한국은 기존의 정책 협력 성과를 토대로 우즈베키스탄의 국제사회 진출을 지원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음.
ㅇ 이중내륙국으로 교통·물류 환경이 열악한 우즈베키스탄은 경제발전을 위해 국제물류의 활성화를 위해 국제 교통·물류 프로젝트를 적극 추진할 것으로 전망되므로, 이 부문에서 한국 기업들이 참여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음.
ㅇ 우즈베키스탄 정부가 추진하는 디지털 산업·자동차 산업, 신재생에너지 산업 등의 부문에 높은 기술력을 가진 한국 기업들의 진출이 유망한 것으로 평가됨.
ㅇ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국가발전전략과 2023년 대통령 국정과제를 통해 교육·보건·환경 부문의 개선을 강조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부문에서의 협력이 매우 유망한 것으로 평가됨.
<전문은 링크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