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역협회] 중국 바이어가 본 한국 소비제품 경쟁력 및 시사점

중국은 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소비시장으로, 내수 중심 성장체제 전환 기점인 2000년부터 현재까지 연평균 8.4% 성장하고 있다. 같은 기간 미국의 소비시장이 연평균 2.2% 성장한 것과 대조된다. 소비는 과거 10년 동안 중국 경제회복을 견인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 왔다. 2023년 중국의 소매판매는 사상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온라인 판매 증가가 전체 소매판매 증가의 주요 원동력으로 작용했다.

한편 2023년 중국의 소비재 수입시장은 5.2% 감소한 2,320억 달러를 기록했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중국 소비재 수입시장에서 라면, 음료수 등 가정용 식음료 반제품과 화장품, 의약품 등 비내구성 소비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국가별로는 중국의 소비재 수입 상위 3개국은 독일, 미국, 일본 순이었고, 3개국의 수입은 전체 수입의 27.8%를 차지했다. 한국은 중국의 13위 소비재 수입국이고, 중국은 한국으로부터 화장품을 가장 많이 수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은 링크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