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베트남 고전(古典)의 활용: 『끼에우傳』(Truyện Kiều)을 중심으로

베트남인들은 『끼에우傳』의 많은 구절을 암송할 수 있으며, 『끼에우傳』을 인용하여 공감을 얻는 것에 매우 익숙하다. 어려서부터 이 소설을 듣고 말하며, 각급 학교과정에서 이를 학습했기에 베트남인의 생각에서 그 흔적을 찾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다. 자신의 운명이 마치 그 안에서 전개되고 있다고 착각할 정도로 베트남인의 영혼을 사로잡고 있는 작품이다. 심지어 설날에는 『끼에우傳』으로 운명을 점치는 ‘끼에우점’이 있을 정도이다. 그렇기에 베트남인의 호응을 얻기 위하여 베트남의 정치인과 베트남을 방문한 외국 정상들은 『끼에우傳』을 인용하곤 한다. 1992년 수교 이후 한국과 베트남 간의 경제교류 및 인적교류는 괄목할만한 성장을 보였다. 양국 간의 관계가 보다 높은 수준으로 도약하여 진정한 동반자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상호 간의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베트남인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무엇을 바라는 지를 알아가는 노력일 것이다. 문화에 깊은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며, 그 시작은 『끼에우傳』와 같은 고전읽기에서 부터 시작되어야 할 것이다.

<전문은 링크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