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경제안보와 기술동맹의 중견국 전략

글로벌 중추국가 외교가 지니는 의미와 여기서 도출되는 국가 의제로서의 목표는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한국 외교가 추구할 전략공간으로서, 기존의 동북아와 동남아, 동아시아, 아시아·태평양(아태) 등을 넘어서는, 인태라고 하는 확장된 지역을 상정했다는 점이다. 둘째, 한국 외교의 이슈로서 전통안보 중심 마인드를 넘어서 과학기술, 사이버 안보, 기후변화, 보건안보, 첨단 방위산업, 원전 기술 등을 포괄하는 신흥무대의 이슈들을 대상으로 출현하고 있다는 점이다. 끝으로, 좁은 의미의 국익 추구를 넘어서 보편적 가치의 실현과 국제규범의 준수라고 하는 외교목표를 적극적으로 설정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특징들은 글로벌 중추국가 외교가 내건 구체적인 정책과제에도 반영되고 있는데, 미중 전략경쟁 사이의 중추국가 외교, 인도·태평양 지역전략으로서 중추국가 외교, 전통·신흥 복합무대에서의 중추국가 외교, 보편적 가치・규범 기반의 중추국가 외교 등으로 요약해 볼 수 있다.

<전문은 링크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