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한국의 대중국 수출은 부진을 지속
╺ 2023년(1~9월 누계) 대중국 수출은 916억 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24.3% 감소
○ 대중국 수출 부진 원인: (구조 요인 ①) 중국의 중간재 자급률 상승 및 한ㆍ중 경쟁력 격차 축소
╺ 적극적인 산업 고도화 정책으로 중국산 중간재 자급률 상승
╺ 한ㆍ중 간 경쟁력 격차 축소로 한국산 중간재 투입률 하락
○ 대중국 수출 부진 원인: (구조 요인 ②) 중국 수입시장 내 한국 경쟁력 약화
╺ 중국 수입시장에서 한국 점유율은 2015년 10.9%에서 2023년 6.2%로 하락
╺ 특히 디스플레이, 전지, 석유정제 등의 품목에서 한국 점유율 하락이 두드러짐.
○ 대중국 수출 부진 원인: (수요 요인 ①) 중국 경기 회복 지연
╺ 중국 경기의 회복 지연으로 대중국 수출 부진 지속
○ 대중국 수출 부진 원인: (수요 요인 ②) 글로벌 IT 경기 부진
╺ 글로벌 IT 경기 침체로 반도체 등 대중 수출 주력 IT 품목이 특히 부진
○ 2022년 이전에는 구조 요인의 영향이 컸으나 최근에는 수요 요인이 가세
╺ 대중국 수출 부진 고착화에 대비하여 대응 방안 모색 필요
○ 향후 기술 개발 역량 강화 및 수출시장 다변화가 중요 과제로 부각
╺ 한국의 경쟁력 우위를 유지하기 위한 대응책 점검
╺ 공급망 재편에 대비하여 안정된 생산 네트워크 구축 필요
<전문은 링크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