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일본에서는 전기요금의 인상 속에서 전력의 출력제어, 전기사용시간대 변경, 자동차용 축전지 활용 등 전력의 효율적 활용을 확대하기 위한 제휴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일본 7대 전력회사는 금년 6월부터 전기요금을 최대 40%까지 인상할 방침이다. 큐슈전력은 금년도에 출력제어(전력 수요가 폭증하는 시기를 회피하고 비수기에 전력 공급량을 확대)를 통해서 7억 4,000만kw/시를 절약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를 화력발전으로 생산하려면 약 200억 엔이 소요된다. 예컨대, 전기로업체는 종래 전기료가 저렴한 야간시간대 작업에서 태양광의 전력이 과잉공급되는 시간대로조업시간을 변경함으로써 전기료 절약과 신재생에너지 활용을 통한 탈탄소 추진을 병행하고 있다. 또한 대형축전지를 활용하여 비수기 시에 전력을 비축한 후 전력 송배전망에 접속하려는 움직임도 늘어나고 있다. 스미토모상사는 올해 여름부터 홋카이도 지토세市에서 약 700대의 EV(전기자동차)용 전지를 활용, 출력 6,000kw, 용량 2만 3,000kw의 대형 축전소를 만들어 송배전 전력망에 접속할 예정이다. 에너지 벤처기업인 REXEV도 가나가와현 오다와라(小田原)市에서 카셰어링과 원격조작을 통해서 EV의 휴식시간에 주택에 전력을 공급하는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특히 NTT, 도쿄전력, 토요타의 에너지 분야 제휴 사례가 주목을 끌고 있다.
<전문은 링크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