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로 보는 2021년 1월 바이든 행정부 출범을 앞둔 걸프 지역 정세 변화 이슈 추이

바이든 행정부 출범, 트럼프 행정부와 다른 중동 정책 추진 전망
2021년 1월 20일 조 바이든(Joe Biden) 미국 대통령 당선자가 공식적으로 취임하면서 바이든 행정부가 출범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이란 핵 협상, 걸프 지역 정세,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관계 등 중동 지역 내 주요 현안에 대해 도널드 트럼프 전(前)대통령과는 다른 정책을 추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핵 협상 탈퇴·경제제재 등 대(對)이란 강경책을 추구해온 트럼프 행정부와 달리 바이든 행정부는 이란과의 대화를 재개하고 핵 협상에 복귀하여 외교적 수단으로 이란 핵 개발을 억제한다는 방침이다. 실제로 2021년 1월 23일 공개된 바이든 행정부의 외교안보팀 핵심 인사 명단에는 핵 협상 복귀를 지지하는 인물들이 다수 포함되었다. 오바마 행정부에서 이란 핵 합의의 미국 측 수석 대표였던 웬디 셔먼(Wendy Sherman) 전 국무부 정무차관은 국무부 부장관으로 내정되었으며, 제이크 설리번(Jake Sullivan) 신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1월 26일 상원 인준을 받은 안토니 블링컨(Antony Blinken) 신임 미국 국무부 장관 역시 취임 이후 이란 핵 협상 복귀와 이란과의 대화를 재개할 의사를 밝혔다.

사우디아라비아를 포함한 걸프 국가에 대한 정책도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무함마드 빈 살만(Muhammad bin Salman) 사우디 왕세자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으며, 걸프 국가와 이스라엘을 주축으로 한 중동 내 반(反)이란 동맹을 구성하기 위해 아랍에미리트(UAE) , 바레인과 이스라엘의 국교 수립을 중재했다. 그러나 바이든 행정부는 사우디 정부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선거 운동 기간 여러 차례 사우디 정부의 인권 침해와 예멘 내전 개입에 따른 인도적 피해를 비판하며 사우디와의 관계를 재검토하겠다고 언급했으며, 블링컨 국무부 장관 또한 취임 이후 예멘 내전에 개입한 사우디에 대한 군사적 지원을 중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우디는 지난 2020년 말 정밀유도폭탄 GBU-39 3,000 기 등 2억 9,000만 달러(3,235억 8,200만 원) 규모의 무기를 주문했으며, UAE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임기 마지막 날인 2021년 1월 19일 230억 달러(25조 6,634억 원) 규모의 스텔스 전투기 F-35A 50기를 주문했으나, 바이든 행정부는 1월 27일 무기 수출 계약의 이행을 중단시키며 미국의 중동 정책 변화를 시사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또한 팔레스타인과 관계를 복원할 것이라고 발표하며 트럼프 행정부의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정책을 뒤집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지난 2017년 12월 예루살렘을 이스라엘의 수도로 공식 인정하고 이스라엘 주재 미국 대사관을 이전한 트럼프 전 대통령은 2018년에는 미국과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의 외교 창구 역할을 해 온 팔레스타인해방기구(PLO) 워싱턴사무소를 폐쇄하고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와 난민에 대한 지원금 제공을 중단하는 등 이스라엘을 적극적으로 지지하는 반면 팔레스타인과의 관계는 단절하는 정책을 펼쳐왔다. 그러나 리처드 밀스(Richard Mills) 국제연합(UN) 주재 미국대사 대행은 1월 26일 미국은 팔레스타인 독립국가를 건설하는 ‘두 국가 해법’을 지지하며 팔레스타인과의 관계 복원과 인도적 지원 재개를 추구한다고 밝혔다.

<전문은 링크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