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정부가 디지털 위안화를 도입함에 따라 그 배경과 영향에 대해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특히 전세계 제 2위 경제권에서 최초로 시행되는 중앙은행 발행 디지털화폐(CBDC: Centeral Bank Digital Currency)라는 점뿐만 아니라 현재 한국을 포함한 약 80여개 국가에서 시행을 검토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국의 시범운영은 주목을 끌고 있다. 또한 2021년 1월 16일에는 중국 인민은행과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스위프트)가 디지털 위안화의 국제결제를 위한 합작법인(Joint Venture)으로 ‘금융 게이트웨이 정보 서비스'(FGISL: Finance Gateway Information Service Limited)를 설립함에 따라 디지털위안화가 달러 기축통화의 지위를 위협하면서 본격적으로 위안화국제화를 앞당기는 역할을 할 것이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본고는 디지털 위안화 도입의 정치적 경제적 배경과 함께 위안화 국제화에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디지털 위안화가 현재 발행되고 있는 전자화폐와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를 살펴본다.
<전문은 링크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