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외경제정책연구원]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중앙아 5개국의 경제 동향과 정책 대응

▶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중앙아시아의 지정학적·지경학적 중요성이 증가하였고, 한국의 입장에서 유라시아 지역과의 협력 기반 유지·확대 등 중앙아와 경제협력 필요성이 커짐.

▶ 중앙아 5개국은 소련 해체 이후에도 러시아와 긴밀한 경제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어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부정적 파급효과가 심각할 것으로 전망되었으나, 2022년 상대적으로 양호한 경제성장을 기록함.

▶ 러·우 전쟁 발발 직후 중앙아 5개국은 경제 안정화를 위해 단기 긴급 대책을 추진했고,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의 상황을 일시적인 것이 아닌 뉴노멀로 인식하여 중장기 경제성장 전략을 수립·추진하고 있음. 

▶ 한국이 직면한 과제와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중앙아의 경제성장 전략을 토대로 본 한국-중앙아 유망 협력분야는 △희소금속(희토류 포함) △물류망 △에너지 △관광 부문으로 판단됨.

<전문은 링크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