ㅁ [이슈] 중국의 경기 하방압력이 부동산시장 부진과 민간심리 위축 등으로 강해지면서 최근 중국의 국력이 정점에 달했다는 피크 차이나론이 주목
ㅁ [배경] 피크 차이나론에 따르면 중국의 강점이었던 인구가 감소세로 전환된 가운데 자원의 대외의존도 심화, 미국의 첨단산업 견제 등도 가세하면서 중국이 성장한계에 직면
ㅁ [평가] 피크 차이나론에서는 미국의 압박수위가 강해질 경우 대만 등에서 중국과의 무력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을 우려. 다만 중국이 구조개혁을 성공적으로 진행할 경우 견조한 성장과 함께 국제 영향력을 유지할 소지도 상존
ㅁ [시사점] 우리나라의 경우 중국경제의 성장 둔화 장기화에 대비하여 프렌드쇼어링 활용, 대체시장 발굴 등 對중국 디리스킹 전략을 마련하는 한편 중국경제의 성장세 지속 및 영향력 확대 등의 상반된 시나리오에도 대비할 필요
<전문은 링크 참조>